Skip to main content

Featured

The First Chapter : Interview with Yana Sakhno (English ver.)

             This conversation marks the seventh interview in the series ‘Defining Moments: The First Start or the Turning Moment’. We meet Yana Sakhno, a ceramic artist from Monchegorsk who has found her voice in Saint Petersburg. Trained in costume design but ultimately drawn to clay, Yana builds tactile worlds inhabited by singular characters—an approach that crystallized with her first BLOB, when emotion began to lead thought. Music and cinema set the rhythm of her practice. The painters Vrubel and Vermeer, and the satirical charge of James Ensor, inform her sensibility; among contemporary sculptors, sh...

The First Chapter : Interview with Lin Ye (Korean ver.)

      





이 대화는 'Defining Moments'의 첫 챕터 '작업의 첫 시작, 혹은 전환점이 된 순간'의 다섯 번째 인터뷰로, 작가 예 린의 여정을 소개합니다.


중국 출신의 일러스트레이터 Lin Ye는 일상적인 장면에 초현실적인 디테일을 더해 상상력을 자극하는 세계를 창조합니다. 그녀의 예술적 여정은 예술 대학 입시에서의 실패라는 중요한 경험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경험은 그림이 단순한 도피가 아닌, 자신을 찾는 길이 되도록 이끌었습니다. 그림책 일러스트와 글쓰기가 만나는 지점에서 작업하며, 그녀는 경험한 순간들을 감정과 세심한 구도가 이끄는 명확한 시각적 이야기로 변환합니다. 목소리를 찾기 위한 인내의 과정에서, 그녀는 한 이미지를 여러 번 다시 그리며 노력 대신 편안함을 찾았고, 스타일은 기쁨에서 자란다는 중요한 교훈을 배웠습니다. 그 결과, 그녀는 3x3 일러스트레이션 어워드의 프로페셔널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고, 큐레이터로부터 그림 형제의 동화를 해석해달라는 초대를 받았습니다. 'What’s in the Park'와 'When I’m Alone' 같은 작품들은 독립적으로 서 있으면서도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관객들과 "나도 그래"라는 공감의 공간에서 만납니다. René Magritte에게 영감을 받아, 그녀는 "당연함을 잊기"를 실천하며, 생각과 감정을 여는 작은 놀라움을 초대합니다. 앞으로 Lin은 예술과 심리학의 접점에서 색상과 구도가 부드러운 시각적 치유로 작용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텍스트는 작가의 목소리를 최대한 그대로 살리면서도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최소한의 교열만 더했습니다. 기록이 작업을 이해하는 작은 빛이 되어 독자 여러분의 감상 곁에 조용히 머무르길 바라며, 이제 작가의 말로 이어지는 다섯 번째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


Q. 안녕하세요귀중한 시간을 내어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대화를 시작하며작가님과 현재 진행하고 계신 프로젝트에 대해 간략히 소개해 주시겠습니까어떤 작업에 몰두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A. 안녕하세요, 저는 중국 출신의 일러스트레이터 예 린입니다. 저는 시각 언어를 통해 기존의 틀을 깨고 상상력을 자극하는 세계를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초현실적인 요소를 일상적인 장면과 섞어 평범함에 도전하고자 하는 내면의 욕구를 표현하는 것을 즐깁니다. 일상적인 환경 속에 숨겨진 작은, 기묘한 디테일들을 발견하실 수 있을 텐데요, 이것들이 바로 저의 작은 예술적 반항입니다.


최근에는 주로 그림책 일러스트와 글쓰기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야기를 그림과 결합하고 있습니다. 세상을 통해 얻은 저의 다양한 경험들을 흥미로운 이야기로 풀어내고 있습니다.





Q. 아티스트로서의 길을 걷게   계기나 작업에 깊이 몰입하게 만든 결정적인 순간이 있으셨나요시절을 떠올릴  특별히 기억나는 이미지나 감각이 있다면 함께 나누어 주시면 좋겠습니다.

A. 제 여정은 대학 입시에서 떨어진 순간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실패처럼 느껴졌지만, 돌이켜보면 그때가 제 예술적 삶이 깨어난 순간이었습니다.


저는 네 살 때부터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고, 미술 수업은 언제나 자유롭고 순수한 기쁨의 공간이었습니다. 하지만 자라면서 미술은 시험과 얽히게 되었고, 점점 갇힌 느낌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입시 때 석고상을 그리던 압박감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창의적이라기보다는 기계적인 작업처럼 느껴졌습니다.


꿈꾸던 미술 대학에 들어가지 못한 후, 즐기지 못했던 디자인 프로그램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모든 것이 회색빛이고 불확실하게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펜을 들고 제 작은 세상을 그릴 때마다, 무언가가 변했습니다. 시간이 느려지고, 마음이 편안해지며, 내면 깊은 곳에서 조용한 따스함이 느껴졌습니다. 빛이 아닌, 감정이 불타오르는 듯한 따스함이었습니다.


결국, 저는 그림이 도피가 아니라, 자신에게 돌아오는 길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자유롭고 기묘한 낙서들이야말로 가장 솔직한 부분이었습니다. 조용한 순간들 속에서 분명히 느낄 있었습니다.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이 있어도 창작을 계속하는 것입니다.







초기 작품





Q. 창작 과정에서 슬럼프를 겪거나  어려움에 직면한 적이 있으신가요그렇다면 시기를 어떻게 극복하셨는지 궁금합니다또한 과정이 독특한 스타일이나 예술적 방향을 발견하는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그리고 주변 환경이나 사람들의 반응에 변화가 있었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A. 네, 그런 어려운 시기를 겪었고, 그때 제 자신만의 스타일과 시각적 언어를 찾게 되었습니다.


석사 과정을 마친 후, 저는 다른 일러스트레이터들의 작품과 제 작품을 비교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각자 강력하고 인상적인 스타일을 가지고 있었고, 그로 인해 저는 제 자신을 의심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주로 그림책을 작업했기 때문에 스타일이 각 이야기의 필요에 따라 변했습니다. 때로는 추상적이고, 때로는 현실적이었죠. 많은 작업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즉시 알아볼 수 있는 시각적 정체성이 부족하다고 느꼈습니다.


저는 같은 일러스트를 여러 방식으로 다시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 어느 날 새벽 3시쯤, 가장 완벽하지는 않지만, 모든 붓질이 자연스럽고 즐거운 버전을 발견했습니다. 그때 깨달았습니다. 진정한 스타일은 억지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창작의 즐거움에서 자연스럽게 자라나는 것이라는 것을요.


돌이켜보면, 고통스러운 탐색이 귀중한 선물이 되었습니다. 저에게 가장 자연스러운 스타일을 계속 사용하자, 무언가가 변했습니다. 관객들이 " 스타일 정말 흥미롭네요, 정말 마음에 들어요"라고 말하기 시작했고, 사람들이 작품을 알아보기 시작했습니다. 결과, 저는 중국의 큐레이터로부터 그림 형제의 동화를 기반으로 전시회를 위해 그림을 그려달라는 초대를 받았습니다.






2025 상하이 그림 형제 동화 전시회


2025 상하이 그림 형제 동화 전시회





Q. 여정에서 마주한 두려움이나 어려움은 종종 특정 작품의 탄생과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특히창작하기 어려웠지만 과정을 통해 중요한 깨달음을 얻거나  보람을 느낀 작품에 대해 말씀해 주실  있을까요 작품에 얽힌 경험과  순간이 지금 당신에게 어떤 의미인지 공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 "What’s in the Park" 시리즈를 마친 후, 저는 예술과 일상 생활의 연결에 대해 깊이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내러티브 일러스트가 장식적인 작품으로도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들었고, 그렇게 해서 "When I’m Alone" 시리즈가 탄생했습니다. 이 시리즈는 런던에서의 나 홀로 생활을 담고 있습니다.


이 작업은 처음으로 학문적인 사고를 내려놓고, 가장 솔직한 감정을 그림으로 표현하고자 했던 시도였습니다. 각 작품이 독립적으로 완성되면서도 이야기의 흐름을 명확히 유지하는 것은 도전이었지만, 그 과정에서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저는 구도에 많은 신경을 썼고, 사진에서 영감을 받아 대각선을 사용해 에너지를 표현하거나 대칭을 통해 차분함을 나타냈습니다.


가장 감동적이었던 것은 사람들의 반응이었습니다. 많은 관객들이 제 일러스트에서 자신의 경험을 보았다고 말해주었습니다. 외로움, 작은 기쁨, 조용한 순간들이 그들에게도 느껴졌다고 했죠. 그런 연결은 어떤 상보다도 큰 의미가 있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저 또한 제 삶의 방식을 돌아보게 되었고, 작은 것들 속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하기 시작했습니다. 행복은 종종 따뜻한 커피 한 잔이나 창가에 비치는 햇살 같은 단순한 순간에서 온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다행히도 시리즈는 3x3 일러스트레이션 어워드의 프로페셔널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습니다. 하지만 인정받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프로젝트가 저에게 가르쳐준 것이었습니다. 솔직한 감정이 조용한 관찰과 만날 , 예술은 다른 사람들과 깊이 소통하는 방법이 된다는 것을요.






공원  이야기 2024


공원  이야기 2024


공원  이야기 2024


공원  이야기 2024





내가 혼자 있을  2024


내가 혼자 있을  2024


내가 혼자 있을  2024






Q. 그러한 경험이 중요한 '전환점' 되었을  같습니다 전환점 이후예술 세계와 방법론은 어떻게 변화했나요 이후로 작업이 어떻게 발전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실  있을까요?

A. "When I’m Alone"은 제 창작 여정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이 작품을 통해 가장 강력한 예술은 관찰, 성찰, 그리고 재구상의 순환에서 나온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 이후로 제 작업 방식은 세 가지 주요 측면에서 변화했습니다. 첫째, 일상 생활을 훨씬 더 세심하게 관찰하기 시작했습니다. 마치 사냥꾼처럼 작은 디테일을 찾는 것처럼요. 커피 컵에 남은 립스틱 자국, 구겨진 영수증이 펴져 있는 모습... 어느 정도 관찰하다 보면, 이런 사물들이 생명을 얻는 상상을 하게 됩니다. 기울어진 빨간 우체통이 무릎이 아프다고 "불평"할 수도 있고, 떨어지는 은행잎이 가장 아름다웠던 노을에 대해 이야기해 줄 수도 있죠.


둘째, 그러한 작은 "대화"들을 항상 기록하려고 합니다. 휴대폰 메모에 적거나 근처의 아무 종이에라도 적어두죠.


마지막으로, 아이디어들을 다시 돌아보고 약간의 창의적인 반항을 더해, 한때 평범했던 것들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합니다.





Q.  전환점 이후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핵심 메시지나 예술적 비전에도 변화가 있었나요그렇다면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A. 네,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제가 그림책을 바라보는 관점이었습니다. 과거에는 그림책이 반드시 교훈이나 교육적 가치를 담아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재미와 교육의 균형을 맞추려 노력하다 보니 늘 어려움을 겪곤 했지요. 제 흥미로운 아이디어들이 교육적 가치를 지니지 못한다는 이유로, 가장 매력적인 개념들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 전환점이 마치 제 마음속 압박을 풀어주는 열쇠처럼 느껴졌습니다. 그림책은 '올바른 답'을 전달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지요. 그것은 가능성, 감정, 또는 단순한 공유의 순간에 관한 이야기일 수 있습니다. 가장 큰 전환은 '남을 가르치려는' 태도에서 '경험을 나누는' 태도로 옮겨간 것이었습니다.

『When I am Alone(혼자 있을 때)』보신 많은 분들이 "이해받는 느낌이 든다"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그때 비로소 진정한 연결은 조언을 주는 데서 오는 것이 아니라, 같은 눈높이에서 솔직하게 보여주는 데서 온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이제 제 작품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바로 그런 깊이 있는 공감입니다.




Q. 오늘날까지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 순간" 의미는 무엇이며그것이 앞으로의 작업과 삶에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나요 순간을  단어나 문장으로 표현한다면무엇이 될까요?

A. 저에게 창작 작업에서 가장 소중한 순간은 관객이 그림 앞에 멈춰 서서 '나도 그래!'라고 속삭일 때입니다. 순간, 작품이 진정으로 이해받고 깊이 공감된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이러한 정신적 대화는 저에게 엄청난 지지를 제공하며, 창작을 계속할 있는 끝없는 동기 부여가 됩니다. 만약 순간을 단어로 표현해야 한다면, '공명'이라고 있을 것입니다.




Q.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영향을  인물작품또는 환경에 대해 말씀해 주실  있나요이러한 영향이 현재 작업에 어떻게 녹아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A. 르네 마그리트의 초현실주의는 제가 예술을 바라보는 방식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의 작품은 제가 "현실"이라고 고정적으로 생각했던 것들을 풀어주는 열쇠와 같았습니다. 왜 사과는 꼭 둥글어야 할까요? 왜 시계는 녹아내릴 수 없을까요? 그가 사물의 "당연함"에 대해 던진 질문들은 제 상상력을 완전히 해방시켰습니다.


그에게 영감을 받아, 저는 "당연함을 잊기"라는 사고방식을 발전시키기 시작했습니다. 이 접근법은 제 일러스트에 더 많은 드라마와 긴장감을 더해줄 뿐만 아니라, 관객과의 새로운 대화를 열어주었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제 "What is in The Park"를 볼 때, 처음에는 "나무가 이렇게 생기면 안 되지"라고 놀라다가, "그럼 어떻게 생겨야 하지?"라고 궁금해합니다. 이러한 인지적 전복의 과정이야말로 예술의 가장 소중한 마법입니다.


이러한 놀라움과 성찰의 순간이 제가 예술에서 가장 사랑하는 부분입니다. 저는 진정한 창의성은 우리가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규칙에 도전하는 것에서 시작된다고 믿습니다.





Q. 창작 과정에서 관객은 어떤 역할을 하나요? 작품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는 것이 작가님에게 어떤 의미를 주나요?

A. 저에게 관객은 창작의 핵심적인 부분입니다. 그들의 피드백은 제 작품을 다양한 시각에서 볼 수 있게 해주는 거울과 같아요. 각자가 일러스트를 다르게 해석하기 때문에, 이런 다양한 반응은 제가 제 작품을 새롭게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예술을 나누는 것은 단순히 생각을 표현하는 것을 넘어, 서로 소통하는 연결고리를 만드는 일입니다. 사람들의 반응과 이야기를 통해, 종종 작품에서 미처 보지 못했던 것들을 발견하게 되죠. 이런 교류는 예술을 더욱 의미 있게 만들어 줍니다.





Q. 과거의 전환점을 바탕으로앞으로 당신의 예술 세계가 어떤 새로운 방향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하시나요현재 가장 흥미로운 새로운 아이디어나 탐구하고 싶은 미지의 영역은 무엇인가요?

A. 지난 몇 년간의 창작 탐구를 통해, 제 예술적 사명이 변화하고 있음을 점점 더 느끼고 있습니다. 단순한 시각적 표현을 넘어, 사람들에게 감정적 치유를 제공할 수 있는 시각적 약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현재 저를 가장 설레게 하는 것은 예술과 심리학의 교차점입니다. 색상과 구도가 관객의 감정과 내면 상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있는지를 탐구하고 싶습니다. 앞으로는 치료사들과 협력하여 다양한 시각적 요소가 감정적 균형에 어떻게 도움을 있는지 연구할 계획입니다.  일러스트가 현대인들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시각적 도구가 되기를 바랍니다.





Q. 오늘 이렇게 깊이 있는 이야기를 나눠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대화를 마무리하며미래의 자신에게혹은 이제  예술적 여정을 시작하려는 이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하고 싶으신가요?

A. 예술의 길은 직선 도로가 아니라 나선형 계단과 같습니다. 때로는 제자리걸음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은 위로 나아가고 있는 것입니다.


펜을 던져버리고 싶을 때, 밤늦게 자신을 의심할 때, 스케치를 찢어버리고 싶을 때, 그런 좌절의 순간들은 장애물이 아닙니다. 그것들은 성장의 일부입니다. 마치 게임처럼, 그런 순간을 넘길 때마다 새로운 스킬을 얻게 됩니다.


그러니 실수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고, 대담하게 시도해 보세요. 비판을 두려워하지 말고, 계속해서 자신을 표현하세요. 당신이 만든 "최악의" 작품이 가장 큰 돌파구의 씨앗을 품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예술의 가장 아름다운 점은 불완전함 속에서 성장한다는 것입니다. 모든 고군분투가 당신의 스타일에 독특한 무언가를 더해줍니다. 그러니 계속 나아가세요. 오늘 포기하고 싶은  그림 속에 당신의 다음 걸작이 숨어 있을지도 모릅니다.










Contact
아티스트 : 예 린
인스타그램 : @ylinillustration


Comments